본문 바로가기
글로 남기는 하루

2026 제2회 이달의 멸종위기 야생생물 세밀화 공모전

by 웰북 2025. 7. 6.
반응형

 

 
⏱️ 읽는 데 약 8분 소요

2026 제2회 이달의 멸종위기 야생생물 세밀화 공모전


환경부 주최, 국립생태원 주관 2026 제2회 이달의 멸종위기 야생생물 세밀화 공모전이 올해 8월부터 접수를 시작합니다.

이번 공모전은 '그림으로 되새겨보는 멸종위기 야생생물'이라는 부제로 2026년 이달의 멸종위기 야생생물 12종을 세밀화로 표현하는 의미 깊은 대회입니다.

🎯 핵심 포인트

총 상금 1,460만원의 대규모 공모전으로, 2012년생 이상이면 누구나 참여 가능합니다. 학술묘사와 디지털 일러스트 두 개 부문으로 나뉘어 진행되며, 생물다양성 보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높이는 중요한 플랫폼입니다.

🌿 공모전 개요

이번 공모전은 생물다양성 감소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높이고 국민의 관심을 유도하여 보전 활동에 참여하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 기획되었습니다.

세밀화를 통해 국민이 멸종위기 야생생물에 대해 친숙하게 접근하고 이해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이 공모전의 주요 목적입니다.

구분 내용
주최 환경부
주관 국립생태원
공모 자격 현재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국민 (2012년생 이상)
※ 2012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 포함
참가비 무료
접수 방법 온라인 접수 (nie.gcontest.co.kr)
문의 공모전 운영사무국 (02-6953-1985)

특히 이번 공모전은 탄소중립 생활 실천을 위해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여 진행되며, 환경 보전이라는 공모전의 취지에 부합하는 친환경적인 운영 방식을 채택했습니다.

📅 일정 및 접수 방법

공모전은 다음과 같은 일정으로 진행됩니다:

단계 일정 세부 내용
작품 접수 2025. 8. 18. ∼ 10. 13. 17:00 마감 온라인 접수만 가능
심사 기간 2025. 10. 14. ∼ 10. 24. (예정) 1차 대국민 온라인투표(30%) + 2차 전문가 심사(70%)
결과 발표 2025. 11. 3. 15:00 (예정) 공모전 홈페이지 공지

⚠️ 접수 시 주의사항

접수는 반드시 공모전 공식 홈페이지 nie.gcontest.co.kr에서만 가능합니다. 마감일인 10월 13일 오후 5시까지 온라인으로 제출해야 하며, 마감일에는 접수량이 많아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니 미리 여유를 두고 제출하시기 바랍니다.

🦋 2026년 이달의 멸종위기 야생생물 12종

이번 공모전의 주제는 2026년 이달의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선정된 12종입니다.

각 종은 국민에게 친숙하거나 비교적 쉽게 관찰할 수 있고, 관심을 끌 수 있는 스토리텔링이 가능하며, 보전·복원사업이 시급한 종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등급/학명 선정 이유
1월 붉은발말똥게 멸종위기 Ⅱ급
Sesarmops intermedius
말똥냄새가 난다는 특징에서 이름이 유래함(2026년 붉은 말의 해)
도둑게와의 혼동에 대해 주의 필요
2월 검은머리갈매기 멸종위기 Ⅱ급
Larus saundersi
2월 2일 람사르 협약이 맺어진 것을 기념하여 세계 습지의 날 제정
갯벌의 해안가에서 무리 지어 서식(월동기)
3월 물범 멸종위기 Ⅰ급
Phoca largha
세계 물범의 날
중국에서 번식한 뒤 3월 백령도로 남하
4월 수원청개구리 멸종위기 Ⅰ급
Dryophytes suweonensis
고유종
4월 마지막주 토요일 세계 개구리의 날
양서류는 기후변화 생물지표종으로 보호 중요도 높음
5월 어름치 멸종위기 Ⅱ급
Hemibarbus mylodon
고유종
22년 신규 지정(개체수 급감)
5월까지 산란기
돌로 산란탑을 쌓아 알을 보호하는 습성(가정의 달)
6월 담비 멸종위기 Ⅱ급
Martes flavigula
6월부터 짝짓기 하는 것으로 알려짐
우리나라 최상위 포식자
귀여운 외모와 달리 무리를 지어 고라니, 멧돼지를 사냥하는 습성
멸종위기 야생생물 등급/학명 선정 이유
7월 호랑이 멸종위기 Ⅰ급
Panthera tigris altaica
7월 29일 세계 호랑이의 날
대국민 멸종위기종 선호도 1위 종(2024년)
8월 홍줄나비 멸종위기 Ⅱ급
Chalinga pratti
22년 신규 지정(서식지 급감, 개체수 감소)
8월까지 성충 출현
저온성 곤충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연평균 기온상승에 영향
9월 서울개발나물 멸종위기 Ⅱ급
Pterygopleurum neurophyllum
9월 개화기 및 결실기
청량리에서 처음 발견되어 서울이라는 명칭 붙임
원동습지 살리기 활동, 서울로 개체 이전 등 홍보
10월 두드럭조개 멸종위기 I급
Aculamprotula coreana
고유종
어류 등을 숙주로 사용하는 기생생활 소개
10월경 유생낭 형성
11월 고니 멸종위기 Ⅰ급
Cygnus columbianus
11월 월동기를 맞아 겨울 철새 홍보
최근 개체수 급감
12월 붉은박쥐 멸종위기 Ⅰ급
Myotis rufoniger
12월 동면기에 겨울철 동면 습성과 암컷이 임신 상태로 동면을 유지하는 습성 소개
황금박쥐라는 별명이 있음

 

🎨 공모 부문 및 작품 규격

이번 공모전은 총 2개 부문으로 나뉘어 진행되며, 각 부문은 서로 다른 특성과 매력을 가지고 있어 참가자들이 자신의 재능에 맞는 분야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 학술 묘사(원화) 부문

전통적인 수작업 방식으로 제작하는 부문입니다.

약 42cm×59.4cm(A2 크기)의 흰색 또는 미색 종이에 작품을 완성해야 합니다.

색연필, 수채화, 아크릴물감, 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파스텔, 목탄, 유화물감 등 번짐이나 손상 우려가 있는 재료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작품을 촬영하거나 스캔하여 긴 변 기준 3,000픽셀 이상의 고해상도 이미지 파일(jpeg, jpg, png 형식)로 온라인 제출하며, 수상 시 반드시 원화(실물 작품)를 제출해야 합니다.

💻 디지털 일러스트 부문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현대적인 표현 방식의 부문입니다.

작품 규격은 해상도 4K(3840×2160), 600dpi 이상, CMYK 색상모드로 제작해야 하며, 접수 시에는 1920×1080픽셀 이상 해상도의 이미지 파일(jpeg, jpg, png 형식)로 제출합니다.

사용 소프트웨어나 디지털 도구에는 제한이 없어 다양한 창작 도구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수상 시에는 작업 가능한 상태의 원본 파일(psd, ai, clip 등)을 제출해야 하며, 레이어 병합이 되지 않은 원본 파일이어야 합니다.

📐 공통 필수 사항

• 대상종의 생태적 특성과 서식지(배경)을 묘사할 것
• 반드시 한 종의 개체만 묘사할 것
• 전신의 모습을 드러나게 그리고, 부분도를 추가할 것
• 실제 대상종의 크기와 비례를 정확히 반영하여야 하며, 과도한 비례 왜곡을 피하고 생물의 크기와 형태에 맞도록 세밀하게 표현할 것

📝 부분도란?

세밀화 내 중심이 되는 그림 주변에 생물의 특징적인 부분(꽃의 수술, 식물의 뿌리, 사향노루의 송곳니 등)이나 생물의 생장과정(식물의 씨앗, 곤충의 알‧유충 등)을 알 수 있도록 1:1 비율 또는 확대하여 추가로 그린 그림을 의미합니다.

🏆 시상 내역

총 24점의 수상작을 선정하며, 상금 총액은 1,460만원입니다.

학술묘사와 디지털 일러스트 부문 구분 없이 포상하며, 상금에 대한 제세공과금은 수상자가 본인 부담합니다.

수상 인원 상금 상장
대상 1점 250만원 환경부장관상
최우수상 2점 150만원 국립생태원장상
우수상 2점 100만원 국립생태원장상
장려상 7점 50만원 상장 미수여
입선 12점 30만원 상장 미수여

포상 규모는 공모 작품 상황과 심사 결과에 따라 조정될 수 있으며, 수상작들은 반드시 원본을 제출해야 합니다.

⚖️ 심사 기준 및 제출 방법

심사는 관련 전문가 5인(분류군, 세밀화, 디지털 일러스트 분야 등)이 담당하며, 대국민 온라인 투표(30%)와 전문가 심사(70%)로 진행됩니다.

심사 기준 세부 내용
대상종 여부, 분류학적 특성의 정확성 선정된 12종 중 정확한 종을 그렸는지, 생물학적 특성이 정확한지 평가
대상종의 생태적‧생물학적 특성 묘사 서식지, 생활사, 먹이, 공생관계 등이 잘 표현되었는지 평가
기법의 세밀함, 구도 및 표현력 작품의 완성도, 세밀한 표현, 예술적 구성 등을 종합 평가

온라인 투표는 심사 기간 내 공모전 홈페이지에서 1인당 1개의 작품에 투표할 수 있습니다.

🚨 중요 유의사항

•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채집 및 서식지 훼손 등 행위는 법적으로 금지
• 작품에 사용된 사진은 출처 명시 및 증빙자료 제출 필수
• 생성형 AI 활용 시 사용한 AI명 명시 및 관련 증빙자료 제출
• 복수 작품 출품 가능하나, 수상은 1개 작품으로 제한

✅ 참가 체크리스트

필수 확인 사항

🌱 맺음말

이번 공모전은 단순한 그림 대회를 넘어 우리나라의 소중한 멸종위기 야생생물에 대한 관심과 보전 의식을 높이는 의미 있는 행사입니다.

여러분의 붓끝과 마우스 클릭을 통해 멸종위기에 처한 생명들의 아름다움과 소중함을 세상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를 통해 생물다양성 보전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더욱 확산되기를 기대합니다.

이미지 출처: 국립생태원 홈페이지
728x90